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namespace
- nginx
- variable
- mongodb operator
- 초간단파이썬
- docker
- WEB
- Kubernetes
- devops #engineer
- 파이썬
- k8s
- multivm
- 컨테이너
- DOIK
- linux
- aws #engineer
- Strimzi
- Vagrant
- java
- container
- python
- Engineer
- httpd실행
- ioredirection
- bash
- 쿠버네티스
- 도커
- springboot
- devops #jenkins
- RSS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볼륨 (1)
샤인의 IT (막 적는) 메모장
[Docker] Docker Storage
컨테이너는 일시적, 일회성으로 사용한다. (Stateless) 즉, 상태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종료되면 사라진다. 따라서 컨테이너를 볼륨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. Docker Storage 연결 #Docker Host 볼륨 공유 #-v Host-dir:/Container-dir #ex docker run -d --name web nginx:latest -v /root/data:/usr/share/nginx/html -p 80:80 따로 데이터만 저장하는 컨테이너를 생성한 후 Volume을 붙여서 저장공간으로만 활용도 가능하다 alpine Linux에 볼륨으로 웹서버 볼륨을 붙이는 경우? 따로 run 명령어로 바로 생성하지 않고 볼륨을 먼저 생성한 후 적용도 가능하다. 앞 예제에서 /r..
Container/Docker
2021. 3. 26. 09:2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