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Python] 문자열 관련 인덱싱 및 슬라이싱
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그리고 문자열 관련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. 인덱싱과 슬라이싱
A = 'Sinkaz'
print(A) # A Sinkaz라는 데이터는 A[0]~A[5]까지의 데이터로 모여있습니다.
print(A[0]+A[1]+A[2]) # 따로 배열값들을 더함
print(A[0:5]) # 0~4까지
print(A[3:]) # 3부터 끝까지
print(A[:2]) # 0~1까지
print(A[:5:2]) #0~4까지중에 두단계씩 0,2,4
Sinkaz
Sin
Sinka
kaz
Si
Sna
인덱싱이란 지정한 위치의 자료들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순서로 나열한 목록들을 만드는 것입니다. 또한 슬라이싱이란 자르다는 뜻으로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데이터를 보기 좋게 나누는 것입니다.
내가 원하는 데이터들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하시면 좀 더 이해하시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기본적으로 데이터가 존재할 때 단일 값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.
그렇기에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배열값에 범위를 설정해서 사용합니다.
A[시작:끝:단계] 이런식으로 사용합니다.
ㄱ
2. 문자열 관련 함수
B = '20191128Sinkaz'
C = ' 2019 1128 Sinkaz'
print(B.count('S')) #count('str') 함수는 문자열 내에 문자의 갯수를 찾아줌
print(B.count('3')) #만약 없다면 0 출력
print(B.find('1')) #find('str') 함수는 주어진 문자의 위치를 찾아줌
print(B.replace('S','z')) #replace('str1','str2')는 str1을 str2로 바꾼다.
print(B.upper()) #upper(),lower()는 모든 문자를 대문자-소문자로 만들어줌
print(B.lower())
D = C.strip() #strip()은 양쪽 공백을 제거한다.
print(D)
C = C.lstrip() #lstrip() , rstrip()으로 오른쪽 왼쪽 공백 제거 따로 가능
C = C.rstrip()
print(C)
C = C.split(" ") #split("str") 함수는 str을 기준으로 나눈다.
print(C)
1
0
2
20191128zinkaz
20191128SINKAZ
20191128sinkaz
2019 1128 Sinkaz
2019 1128 Sinkaz
['2019', '1128', 'Sinkaz']
문자열 관련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(1) count('str') : 문자열 안에 존재하는 str의 수를 찾아준다.
(2) find('str') : 문자열 안에 첫 str의 위치를 찾아준다.
(3) replace('str1','str2') : 문자열 안에 str1을 str2로 변경한다.
(4) upper(), lower() : 문자열 전부 대문자, 소문자로 변경한다.
(5) strip(), lstrip(), rstrip() : 양쪽 공백을 제거해준다. 따로 사용하려면 lstrip()은 왼쪽공백, rstrip()은 오른쪽공백을 제거한다.
(6) split('str') : 주어진 문자열에서 str 기준으로 나눠 리스트를 생성한다.
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은 json 파일처럼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기 좋게 관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니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