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gramming/Python
[Python] 연산자
신샤인
2021. 3. 26. 12:16
반응형
기본적인 정수,실수형 사칙연산과 문자형 연산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.
1. 정수-실수형 연산
#정수형, 실수형 연산
A, B, C = 10, 20, 35.5
print("A와 B의 합은",A+B)
print("A와 B의 차는",A-B)
print("A와 B의 곱은",A*B)
print("A를 B로 나누면",A/B) #4칙 연산 수행
print("A의 B 제곱은",A**B)
print("A를 B로 나눌 때 몫은", A//B)
print("A를 B로 나눌 때 나머지는", A%B)
A와 B의 합은 30
A와 B의 차는 -10
A와 B의 곱은 200
A를 B로 나누면 0.5
A의 B 제곱은 100000000000000000000
A를 B로 나눌 때 몫은 0
A를 B로 나눌 때 나머지는 10
기본적인 사칙연산은 똑같습니다. +,-,*,/ 로 사용합니다.
여기서 더 알아야 할 것은 제곱(**), 몫(//), 나머지(%)입니다. 참고해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2.문자형 연산
#문자형 연산
ST1, ST2 = "Sinkaz", "Coding"
print(ST1+ST2) # 문자열을 더할 시
print(ST1 * 3) # 문자열에 정수형을 곱한다. 음수부터 0 까지 곱할시에 값이 없다.
print(ST1 * -2)
print(len(ST1)) # 문자열의 수를 구하는 len() 함수
print("안녕하세요. \n"+ "Sinkaz입니다.") #자리바꿈은 \n
SinkazCoding
SinkazSinkazSinkaz
6
안녕하세요.
Sinkaz입니다.
문자형 연산입니다. 파이썬만의 특징이라 한다면 다른 언어에서도 +는 가능하지만
파이썬에서는 문자열에 곱셈이 가능합니다. 문자열의 수만큼 출력하게 됩니다.
다음으로 문자열의 크기를 구하는 len()함수가 있습니다.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출력 시 자리바꿈을 원하신다면 \n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