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python
- Engineer
- Strimzi
- 초간단파이썬
- container
- k8s
- mongodb operator
- 컨테이너
- 파이썬
- devops #jenkins
- bash
- linux
- devops #engineer
- java
- nginx
- Vagrant
- DOIK
- multivm
- springboot
- aws #engineer
- 도커
- namespace
- Kubernetes
- variable
- RSS
- WEB
- httpd실행
- ioredirection
- docker
- 쿠버네티스
- Today
- Total
샤인의 IT (막 적는) 메모장
[Python] Python 자료형 본문
파이썬에서 대부분의 자료형 전부 지원하며, 사용하기도 편합니다. 하나씩 배워보도록 합시다.
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자료형을 따로 입력하지는 않습니다!
이 점이 굉장히 편하긴 하지만 사용하면서 어떤 자료형을 썻는지는 알아야 합니다.
1. 정수형, 실수형
#정수형, 실수형
a = 7 #파이썬은 따로 자료형에 대해서 입력하지는 않는다. 정수형 실수형 선언
b = 7.5
print(type(a)) # type() 함수는 주어진 변수에 대한 자료형을 나타낸다.
print(type(b))
print(a+b) # 결과에서 알다 싶이 int형과 float형을 더하면 float형으로 출력한다.
정수형 실수형 출력 결과
처음으로 정수형과 실수형입니다. type() 함수를 이용하여 자료형을 출력하게 되면 int와 float 임을 알 수 있습니다. 또한 int형과 float형을 더해서 출력하면 float형으로 나타내게 됩니다.
2. 문자형
#문자형
a = 'abc'
b = "777" # ''와 " " 둘다 사용 가능하며 둘다 문자형으로 변수 선언
c = 'sinkaz'
d = 3
print(type(a))
print(type(b))
print(a+b) #두 문자열을 더하면 이어서 적는건 가능하지만 문자끼리는 곱할수 없다.
print(c * d) # 하지만 문자열에 정수형을 입력하면 문자만큼 곱해서 실행한다
문자형
문자형은 ' ' 와 " " 둘다 사용 가능합니다. 타입 출력 결과로 str로 나오는 것은 String 약자이며 문자열을 의미합니다.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문자형에다가 int형을 곱할 수 있는데 문자열의 수만큼 출력됩니다.
3.한번에 여러개의 값 대입하기
#한번에 여러 변수에 대한 값 설정과 변수 선언 없이 바로 출력값에 대입
a, b, c = 1, "sinkaz", 7.5 #한번에 세개의 변수 선언
print(a,b,c)
print("안녕하세요 %s 입니다" % b) # %s는 문자열
print("저는 %d일차 글쓰고 사람입니다." % a) # %d는 정수형
print("%lf" % c) #%lf는 실수형
여러 개의 값 대입
한번에 여러개의 값을 대입할 수 있습니다. 변수1, 변수2, 변수3,... = 값1, 값2, 값3,... 으로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또한 print() 함수로 출력할 때 해당하는 위치에 값을 대입하고 싶다면 %s, %d, %lf를 이용하여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.
4.리스트와 튜플형
#리스트와 튜플
#리스트는 값이 변할 수 있지만 튜플은 생성된 후 값 변경이 안된다.
a = [1, 2, 3] #리스트 변수 선언
b = (1, 2, 3) #튜플 변수 선언
print(a)
print(b)
a[1] = 1
print(a)
print(a * 3) # 리스트와 튜플 둘다 곱하기는 가능
print(b * 3)
b[1] = 2
print(b) #튜플 값 변경시 에러 발생한다.
리스트와 튜플형
리스트와 튜플형입니다. 리스트는 [] , 튜플형은 ()로 만들어집니다. 리스트와 튜플의 큰 차이점은 값의 변화가 가능하냐 불가능하냐로 나뉩니다. 둘다 배열이지만 내부 값을 변화해보면 차이가 크게 보입니다. 처음 시작하는 값은 0의 위치부터 시작하면서 진행됩니다. 만약 두번째 행을 찾고 싶다면 A[1]을 적어야겠죠.
5.딕셔너리와 집합형
#딕셔너리와 집합형
#딕셔너리는 Key와 그에 대한 Value 값으로 구성된다.
a = {'name' : 'sinkaz', 'age' : '26'}
print(a)
a['hobby'] = 'coumputer' #딕셔너리에 Key와 Value값 추가
print(a)
del a['hobby'] # del은 파이썬 내장함수로 내부 값들을 삭제할 때 사용한다.
print(a)
a.keys() # keys() 내부함수는 딕셔너리 a에 대한 키들을 나타난다.
a.get('age') # get() 내부함수는 내부 값들을 가져올 때 사용한다.
#집합형은 순서가 없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.
a = set([1, 2, 3]) # 집합 생성
print(a)
b = set([1, 1, 2]) # 중복을 허용하지 않아 1과 2만 저장됨
print(b)
print(a&b, a|b, a-b) # 순서대로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순
딕셔너리와 집합형
딕셔너리와 집합형입니다. 딕셔너리는 Key : Value 값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딕셔너리를 생성할 때 {key1 : value1, key2 : value2 ...}으로 선언해줍니다. 따로 key 값을 가져오는 keys() 함수, value 값을 가져오는 get() 함수, 내부 값을 지울때 사용하는 del을 이용합니다.
집합형은 set()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합니다. 집합은 순서가 없고 중복을 허용하지 않습니다. 또한 &, |, -를 이용하여 교집합, 합집합, 차집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6.불형과 None
#불형
a = True
b = False
print(type(a))
print(1 == 1) # == 는 같은지 확인
print(1 != 2) # != 는 다른지 확인
print(1 > 2) # > < 크고 작은지 확인
#None과 지금까지 배운 자료형의 True , False 구분
print("None : " , bool(None)) # bool()은 내장함수로 True, False를 확인할 때 쓴다.
print("정수형 : " , bool(1) , bool(0)) # 정수형
print("문자형 : ", bool("python"), bool("")) # 문자형
print("리스트 : ", bool([1,2]), bool([]), "튜플 : ", bool((1,2)), bool(())) # 리스트와 튜플형
print("딕셔너리형" , bool({'name':'sinkaz'}) , bool({})) #딕셔너리형
None과 불형입니다. True와 False 두가지만 존재하는 논리 연산으로 이용됩니다. None은 항상 False입니다. ==(같다), =!(다르다) >,<(비교) 사용 가능합니다. bool() 함수는 내장함수로 True, False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.
지금까지 배운 자료형을 하나씩 불형으로 나타내어보면 값이 있다면 True, 없다면 False입니다. 실제로 굉장히 많이 사용하니 알아두시면 좋습니다.
'Programming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문자열 관련 인덱싱 및 슬라이싱 (0) | 2021.03.26 |
---|---|
[Python] 연산자 (0) | 2021.03.26 |
[Python] 입력과 출력 (0) | 2021.03.26 |
[Python] VSCode 설치 (0) | 2021.03.26 |
[Python] 파이썬 설치 (0) | 2021.03.26 |